본문 바로가기
풍경

12/12 양평 산중옛길을 걸으며~

by 동숙 2020. 12. 12.
728x90

인터넷 서핑을 하다가 우연히 양평의 산중옛길을 알게 되었다.

이곳 퇴촌에서 아주 가까운 장소에 그것도 낚시하러 자주 들리던 세월리에 있다는 둘레길을 내가 몰랐단 것에

뭐지? 싶었으나 우선은 가보기로 정하고 토요일 아침 7시에 집을 나섰다.

만나기로 한 친구가 아직 도착하지 않아 큰길로 나서는데 동네 어귀의 느티나무에 달님이 곱다.

아직 어슴프레 날이 밝지가 않아 보게 된 달님이 반갑더라는,,,

 

 

 

삼십 분도 채 되지 않아 도착한 사슬 고개(사실 고개)의 시작점이 주차장 열대 정도는 주차를 할 수 있고 화장실도 마련된

주차장이 있었다. 그리고 오늘 걸을 산중옛길의 여러 코스가 있는 안내도 이곳에서 등산화 끈을 조여매고 출발~

 

 

 

아직은 어슴푸레한 임도를 걷는데 살짝 추운 날씨가 상쾌하게 느껴진다.

걷다가 뒤돌아 보니 숲 나무 틈새로 해님이 떠오르는 게 보이기 시작하는데 핸드폰만 가져와 살짝 아쉬운 나무 틈의 일출

모습을 담아본다. 꽤 여러 장 담았는데 영 시원치 않은~~~ㅎㅎ

 

 

 

구불구불 임도길을 걷다가 기괴한 모습의 나무도 보고 또 이렇게 벤치가 놓은 쉼터도 만난다.

친구의 말이 내 발걸음이 조금 빠르단다.  페이스를 조절해야 무릎에 부담이 되지 않고 호흡도 편한데 가끔은 이렇게

서둘러 걷게 되는 나 뭐가 그리 급한 걸까?  다시 발걸음을 조절해본다.

 

 

 

처음 만나는 삼거리에서 살짝 고민을 했다.

뒤돌아 보니 해님은 조금 더 나무 위로 떠오르고 사위는 조금 더 밝아졌다.

우리는 평평한 임도길을 버리고 가파른 산길로 오르기로 정했다.  분명 원점회귀를 하려면 저 임도길로 되돌아 나오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거니와 이 비탈길을 오르면 서석산 전망대로 바로 오르기에 그곳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그렇게나

멋지다는 리뷰들을 봤기에 서둘러 보고 싶은 생각이었다.

 

 

 

조금 오르다 뒤돌아 보고 또 뒤돌아 보며 보이는 멋진 전망에 감탄을 했다.

떠오르던 해님은 붉은빛을 띠며 뭔가 희망의 빛으로 느껴지고 뭔가 맘속 저 아래로 뭉클한 감동이 몰려오더라는,,,

아마도 서석산 전망대에 오르면 더 멋진 조망을 볼 수 있겠지 싶어 서둘러 걷는데 오르막이 만만치 않아 숨이 가쁘다.

 

 

 

저 나무 표지판을 만나면 넓은 길을 버리고 옆으로 난 오솔길로 들어서야 한다.

이런 산중에 신기하게도 사주 등등을 보는 점집이 자리하고 있더라는 넓은 길은 그 점집으로 가는 길이고 서석산 정상은

이곳에서 오솔길을 조금 더 올라야 만날 수 있다.

 

 

 

마치 거북이의 머리를 닮은 바위도 만나고 오르는 산길엔 소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어선지 숲의 향이 그윽하다.

정신까지 맑아지는 듯한 상쾌함과 비탈을 오르느라 후끈 달아오른 몸과 흐르는 땀이 시원히 날아가는 느낌이다.

 

 

 

건너편 양자산 산줄기도 바라보며 헉헉대며 오르다 보니 드디어 서석산 전망대가 보이더라는,,,

앞서 걷던 친구가 감탄을 하며 멋지다 한다.

굉장하다. 

양평의 옥천지역 용문산 유명산 줄기가 훤히 보이고 더 동쪽의 추읍산과 개군면이 훤히 보이는 풍경이다.

양평지역을 흐르는 남한강 줄기가 구불구불 부드럽게 휘돌아 흐르는 모습이 너무도 평화로워 보이는 풍경이다.

이곳이라면 일출의 모습도 가능하지 싶다.

새해의 일출은 소 서묘원을 포기하고 이곳에서 맞이해야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개군과 이포방면

 

상어 지느러미 같이 솟은 추읍산이 바라보이는 개군 이포방면

 

저 아래 반짝이는 개천은 아마도 세월리에서 시작하는 개천이겠지 싶다.

 

양평 시내 뒤로 유명산 용문산 줄기가 펼쳐지고

 

강하쪽을 바라보며 백병산에서 시작하는 산중임도길이 저곳에 펼쳐 있겠지

 

양평의 옥천에서 시작하는 중부내륙고속도로가 보인다.

 

다시 추읍산을 바라보고

 

뾰족 솟은 백운봉 뒤로 용문산 정상이 보인다.

 

 

자꾸만 눈길이 머무는 전망대를 떠나며,,,

가슴이 설렌다.

곧 조금 더 이른 시간에 이곳을 찾아 해 뜨는 것을 보고 말리라 다짐을 해본다.

오늘은 미세먼지가 많아 시계가 깨끗하지 못해 너무 아쉬워 조금 쨍한 날에 다시 찾아보자 다짐도 해본다.

 

 

 

전망대를 벗어나면 우뚝 솟아있는 바위~

앞서 전망대를 벗어난 친구가 안 보여 두리번거리는데 저 바위 뒤에서 보이더라는~

뭘 하는 걸까 가보니 역시나 바위만 보이면 그 위에 아슬하게 돌을 얹는 묘기를 부리는 친구 이곳에서도 예외는 아니고

열심히 작은 돌을 세우고 있더라는~ㅋ

이 큰 바위로 인해 바람이 막아져 아늑한 자리이다.  이곳에서 친구는 돌을 세우고 나는 배낭에서 커피를 꺼냈다.

둘러보니 멋진 소나무도 보이고 해님은 조금 더 올라 그나마 파란 하늘도 보이더라.

 

 

돌세우기에 집중한 원식이~

 

가파른 길을 올라왔다고 땀이 흐른다.

 

원식이가 세워놓은 돌

 

 

올라온 길과 반대편인 내려가는 길은 처음은 계단으로 시작을 하더니 산 등성이를 따라 오르내리며 걷게 되더라.

적당히 운동이 되는 길인 듯싶은데 강 쪽에서 부는 바람을 오른쪽 볼에 고스란히 맞음 걸어야 한다.

오랜만에 볼이 시리더라는~ㅎㅎ

 

 

오르는 내내 앞서 걷더니 정상을 보고 나서는 뒤처져 걷는 친구

 

바위틈에서 어떻게 자라는거니 소나무야~

 

다시 앞으로 친고 나가는 친구

 

 

전망대를 지나며 등성이 길을 내려오니 이렇게 또 다른 임도와 마주하게 되더라는,,,

아마도 신화리 송학리 쪽에서 오르는 길이 아닐까 짐작해본다.

 

 

이정표가 잘 설치되어 있어 길을 찾기는 쉽다.

 

지나온 삼거리를 뒤돌아 보며

 

양자산의 줄기

 

바로 전날 미끼를 살포했다는 경고표지

 

 

내려와 마주한 산중의 농막을 지나며 평평한 임도길로 들어서는데 곧 산적 공원이라는 이정표와 만나게 되었다.

옛날 산적들이 모여 살던 장소를 되살려 조성해놓은 공원이라는데 가봐야겠지~~

 

 

추운 계절이 아니라면 저곳에서 쉬어가면 좋겠다. 누워 숲의 소리에 집중하면 행복할테지~~

 

산적의 요새이다~ㅋㅋ

 

바로 옆에 얼어붙은 작은 계곡도 있고~

 

건너편 산 등성은 우리가 걸어온 길이다.

 

다시 되돌아 나오며~

아쉽게도 핸드폰의 배터리가 여기서 다 되었다는,,,ㅜㅜ

늘 가지고 다니는 보조 배터리도 방전이 되어 트랭글도 이곳에서 끊겼다.

 

이곳부터 펼쳐지는 길은 말 그대로 아주 평탄한 임도이다.

그리고 이 시점부터는 사람들을 마주치게 되더라는 아마도 시간이 제법 흐른 게 아닐까 싶다.

이곳은 사람들이 꽤 찾는 둘레길이라는 생각이 그제야 들었다 그동안은 인적 없는 길을 우리만 걸었는데 생각해보니

우리가 너무 일찍 걷기 시작해서였다는~~ㅎ

 

약 7.3km의 거리를 걸었다.

다시 원점회귀를 하니 열두 시도 안된 시간이라 집으로 돌아가기는 너무 아쉬워 강 건너 개군에 있는 파사성을 한번 더

둘러보자 의견을 모으고 파사성으로 향했다.

 

이곳의 조망이 너무 멋지다고 전라도 광주에 사는 친구가 이번 주 토요일 올라온단다.

이 풍경이 보고 싶어 오겠다는데 이번엔 좀 더 이른 시간에 올라 일출을 볼 예정이다.

댓글